본문 바로가기
사용설명서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음 TOP7 정보 (구글드라이브 네이버마이박스 아이클라우드)

by 제페토 2024. 1. 4.
반응형

이제 usb를 들고다니는 시대도 아닌가 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파일과 음악, 사진 등의 자료를 온라인 상에 보관하고 언제 어디서든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우리나라 및 해외에서 무료로 저장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드 사이트들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나온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 공간만 해도 몇테라가 넘어가니, 유용하게 잘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네이버 마이박스) (▶▶바로가기◀◀)

반응형

 

우리나라 대표적인 포털웹사이트인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네이버 마이박스(MYBOX)라고 명칭을 정해서 서비스 중입니다.

국내 최대 무료용량으로 30GB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를 통해 사진과 문서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언제든 꺼내어 작업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사진 정리 및 문서조회/편집, 공유 등의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위 링크로 들어가면 모바일앱다운로드와 데스크톱앱다운로드 링크가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다운받아서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2. 삼성클라우드 (▶▶바로가기◀◀)

 

지난 2015년 삼성에서 갤럭시 노트7을 공개하면서 함께 온라인 상의 백업공간으로 소개된 삼성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제공하고 있는 일정용량의 온라인저장공간에 갤러리, 연락처 등을 백업할 수 있고 백업된 내용을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순수하게 클라우드 저장소로도 사용이 가능해, 갤럭시 사용자들은 한번쯤 경험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 구글드라이브 (▶▶바로가기◀◀)

 

구글에서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무료로 15GB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 지메일(GMAIL.COM)로 들어오는 메일 백업과 함께, 안드로이드 OS의 스마트폰의 여러가지 저장파일들을 백업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주로 핸드폰 포토파일이 저절로 구글 드라이브로 다운로드되므로, 15GB라는 용량이 크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용량이 금방 소진이 되어버리는 데, 더 많은 용량으로 제약없이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한달에 2000~3000원의 구독료를 지불하면, 100GB를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4. 원드라이브 (▶▶바로가기◀◀)

 

 

무료 용량으로는 5GB라는 비교적 적은 용량을 제공하고 있는 MS에서 진행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용량은 적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MS 오피스와 호환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예를 들자면, MS 오피스 중 엑셀이나 파워포인트로 작업을 회사에서 하고나서 저장을 원드라이브에 해놓으면, 퇴근후나 여행지에서 연속으로 업무를 처리하려고 할 때, 동일 아이디로 엑셀과 파워포인트로 들어가면 언제 어디서든 작업을 이어서 가능합니다.


5. 아이클라우드 (애플) (▶▶바로가기◀◀)

 

애플에서 제공하는 아이클라우드라는 서비스로 여기에서도 MS 원드라이브에서처럼 무료 용량을 단 5GB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용량은 적으나, 애플 사용자라면 아주 유용한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6. 드롭박스 (▶▶바로가기◀◀)

 

 

 

드롭박스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무료 용량을 2GB 밖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외부 앱들이 드롭박스를 지원하고 있어 공유가 편리합니다.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에 비해서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어서, 자료를 만들고 업로드하는 방법이 가장 심플합니다.


7. 테라박스 (바이두 자회사)(▶▶바로가기◀◀)

 

무료 용량을 무려 1테라나 제공하고 있는 중국 업체 입니다. 아마 무료로 저장공간을 제공해주는 업체 중에서 그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중국 기업이기 때문에, 최근에 또 불거지고 있는 해커 또는 보안 문제로 인해 우리나라에 그렇게 까지 많이 보급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